미국, 하와이를 탈취하다 |
|
1902년 12월 22일 한 척의 배가 많은 이들의 눈물의 환송을 받으며 제물포항을 떠났다. 121명의 조선인을 태운 일본상선 겐카이 호였다. 그렇게 조국을 떠난 이들은 일본의 고베 항에 도착해서 일부를 제외하고 다시 갤릭 호로 갈아타고 마침내 1903년 1월 13일 하와이에 도착했다. 그들이 바로 우리나라 최초의 미국이민자들이다. 이후 1905년까지 7,000명이 넘는 조선인들이 미국으로 이민을 떠났다.
쇠락해가는 조국을 떠나는 그들의 심정이 어땠을까? 아마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 아스라이 멀어져 가는 조국 땅을 바라보며 그들은 바다에 회한의 눈물을 뿌렸을 것이다. 그러면서도 마음 한 편에서는 조국에서의 고단한 삶을 뒤로하고 새로운 땅에서 새로운 삶을 개척할 희망과 기대로 가슴이 설레지 않았을까? 그들 이민자들을 부른 곳은 하와이의 사탕수수 농장들이었다. 그들은 모두 그곳에서 가혹한 조건 아래서 일하며 새로운 삶을 일구어야 했다.
그들이 떠난 지 오래지 않아 조선은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다. 그 소식을 접한 그들의 마음은 또 어땠을까? 그들은 다시 한 번 억누를 수 없는 회한에 사로잡혀 하와이의 거친 사탕수수 농장에 눈물을 뿌렸을지 모른다. 이제 그들은 나라 없는 유랑민이 되어야 했으니 말이다. 그들은 이산의 고통에 망국의 설움까지 짊어져야만 했다. 그래서 그들은 독립운동에 헌신적이었는지 모른다.
초기 이민자들은 대부분 독신남자들로서 결혼해서 안정된 가정을 꾸리고 싶어 했다. 그러나 하와이라는 낯설고 물선 땅에서 결혼할 여자를 찾는 것은 거의 불가능했다. 그래서 찾아낸 것이 사진결혼이었다. 중매쟁이를 통해 사진으로 서로 선을 보고 신부가 될 사람이 낯설고 먼 하와이로 찾아가 낯선 사내와 신혼의 보금자리를 꾸렸다. 그렇게 하와이로 찾아간 여자들이 이름 하여 사진신부들이었다.
앞서 이민을 간 남자들과 마찬가지로 달랑 사진 한 장 들고 그들을 뒤따라간 여자들도 모두 가난한 집안의 딸들로 새로운 세상에서 새로운 삶을 살고 싶은 당찬 꿈을 지녔다. 그러나 하와이에 도착한 신부들을 기다린 것은 달콤한 신혼의 꿈이 아니었다. 사진 속의 잘 생긴 젊은 남자(?)는 온데 간 데 없고 그들을 기다리는 사람은 흔히 늙수그레한 남자들이었다. 남자들이 오래 전의 사진을 보낸 것이다. 얼마나 황당했을까? 그렇다고 돌아올 수도 없는 일, 그들은 낯선 나라에서 힘든 노동에 시달리며 서로 정을 붙이고 살았다.
여기서 한 가지 드는 의문이 있다. 미국에서 거의 4,000km나 떨어진 태평양 한 가운데 있는 섬들이 언제 어떻게 ‘미국 땅’이 되었을까? 하와이 강탈은 바로 미국의 제국주의적 침략의 신호탄이자 한 상징적 사건이다.
미국 경제는 남북전쟁 후 북부를 중심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했다. 그 속도는 아마 오늘날의 중국에 버금가거나 능가할 것이다. 그 결과 19세기 말에 미국은 세계의 공장이 되었으며, ‘미국제’는 오늘날의 ‘중국제’만큼이나 불량품의 대명사였다. 그런 급속히 팽창하는 경제력을 바탕으로 미국은 해외에서 팽창주의 정책을 폈다. 처음에는 ‘안마당’인 중남미에서 유럽 세력을 견제하면서 미국의 지배력을 강화하는데 주력했다. 그리고 그 일이 대충 정리되자 본격적으로 아시아를 넘보게 되었다.
미국은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과잉생산품들을 처분할 새로운 시장이 필요했으며, 그 돌파구를 아시아에서 찾았다. 그런데 태평양이 보통 넓은 바다인가? 미국이 잠재적인 거대 시장인 중국과 일본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그 넓은 태평양에 징검다리가 필요했다. 그래서 미국은 하와이 제도와 미드웨이 제도와 웨이크 섬과 괌 섬을 차례로 강탈했다. 그리고 마침내 필리핀을 스페인으로부터 빼앗아 식민지로 삼았다. 그 출발점이 바로 하와이 강제합병이었다.
하와이는 여덟 개의 주요 섬들과 수많은 작은 섬들로 이루어진 제도(諸島)로 5세기 무렵부터 폴리네시아인들이 거주하기 시작했다. 1778년 영국의 제임스 쿡 선장이 유럽인으로서는 처음으로 하와이에 발을 디딘 후 유럽인들과 미국인들이 이 섬에 몰려들었다.
하와이는 1810년 카메하메하 1세가 제도 전체를 아우르는 통일 왕조를 이룩하면서 국가체제를 갖추었다. 그리고 1840년에는 카메하메하 3세에 의해 절대왕정에서 입헌군주국으로 바뀌었다. 그런 가운데 19세기 중엽에 영국과 프랑스와 미국을 비롯한 유럽 열강들은 하와이를 두고 치열한 쟁탈전을 벌였다. 그러므로 하와이 왕조는 유럽인들의 간섭으로 바람 잘 날이 없었다.
하와이를 지배하려는 유럽 열강들의 노력은 집요했다. 1843년에는 영국 해군의 조지 폴레 경이 호놀룰루 항을 점령하고 국왕을 협박해 퇴위시킴으로써 일시적으로 왕정을 붕괴시키기도 했다. 1848년에는 하와이 정부가 유럽계 거주민들의 압력에 굴복해 유럽인들의 토지소유를 허용했다. 1887년에는 백인들의 협박으로 개헌을 해 유럽인들과 미국인들이 외국인이면서도 투표권을 확보하게 되었고 미국은 진주만에 미군이 주둔할 권리를 획득했다.
유럽 열강의 그런 일련의 경쟁에서 헤게모니를 장악한 나라가 바로 미국이었다. 미국은 아시아로 진출하기 위한 교두보로 하와이를 필요로 했으므로 미국의 제국주의자들은 합병에 열성적이었다. 미국은 1875년에 하와이와 호혜조약을 맺어 사탕수수와 쌀을 미국에 무관세로 수출할 수 있는 특혜를 베풀었다. 이 조약의 결과 하와이의 사탕수수 농장이 빠르게 확장되었으며, 중국인들과 일본인들을 비롯한 많은 아시아인들이 그곳에 노동자로 모여들었다. 구한말 우리의 선조들도 그렇게 건너갔다. 물론 그 농장들은 대부분 미국인들이 장악하고 있었다.
1890년에 미국이 하와이의 사탕수수에 대한 무관세 혜택을 철폐하자 하와이의 백인 사탕수수 농장주들은 위기에 몰리게 되었다. 그때부터 그들은 합병 청원서를 내는 등 하와이를 미국에 합병하려는 노력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게 되었다. 더욱이 1893년에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이 개헌을 통해 유럽인들과 미국인들의 투표권을 박탈하려 하자 그들은 마침내 반란을 일으켜 여왕을 폐위하고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그 반란은 미국 공사 존 스티븐슨을 비롯한 외교관들과 미군들이 적극 개입한 사건으로 사실상 미국인들이 하와이의 주권을 탈취한 불법행위였다. 그들의 반란의 명분은 “미국의 공사관과 미국의 영사관을 보호하고 미국인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서”였다. 어디서 많이 들어본 변명이 아닌가? 반란 후 그들은 곧 바로 미국과의 합병을 추진했다. 이들의 합방 운동 뒤에는 제국주의자인 미국 국무장관 월터 그레샴이 있었다.
그러나 그들의 꿈은 제국주의적 팽창정책을 반대하는 미국 대통령 클리블랜드의 거부로 좌절되었다. 그는 1893년의 하와이 반란을 불법으로 규정했으며 하와이 합병안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에 하와이 임시정부는 어쩔 수 없이 공화국을 선언하고 다시 때를 기다려야 했다. 마침내 1898년에 제국주의자인 맥킨리 대통령이 하와이 합병안을 의회에 제출해 통과되었다. 물론 원주민들의 거센 저항이 있었지만 미국의 우월한 힘 앞에서는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 조약 체결 2년 후인 1900년에 하와이는 정식으로 미국의 영토가 되었으며, 1959년에 50번째 주가 되었다.
오늘날 하와이 원주민들은 미국인으로 살아가고 있지만 아직도 독립에 대한 열망을 버리지 않고 원주민의 주권회복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클린턴 정부시절인 1993년에 미국 의회는 공법103-150(‘사과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그 결의안은 “1893년 1월 17일에 하와이 왕조를 전복하고 하와이 원주민들의 자결권을 박탈한 것에 대해 하와이 원주민들에게 미국인들을 대신해” 사과하였다. 그러나 원주민들의 독립의 길은 아직 멀기만 하다.
캐시 송이라는 하와이 시인이 있다. 그 성(姓)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계 미국인이다. 그녀의 할머니가 바로 사진신부였다. 그녀는 <사진신부Picture Bride>라는 시에서 자기 할머니의 결혼에 대해 다음과 같이 담담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한국을 떠날 때 그녀는 나보다 한 살 적은 스물세 살이었다. 그녀는 아버지의 집 대문을 닫고 소리 없이 떠났을까. 그리고 부산의 양복점들을 지나 최근에야 그 이름을 알게 된 섬으로 그녀를 데려다 줄 배가 기다리는 부두까지는 먼 길이었을까 (…) 그리고 도착해서 남편인 열세 살 연상의 낯선 이의 얼굴을 보았을 때 저고리의 비단 고름을, 일꾼들이 사탕수수 대를 태우는 근처의 들판에서 불어오는 메마른 바람으로 가득 찬 천막 같은 치마를 그녀는 얌전히 풀었을까? - 재미로 쓰는 미국사 중에서 |
' 1 미국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4만달러로 은퇴 즐길 수 있는“바로 이곳” (0) | 2014.02.19 |
---|---|
미국 신분도용범죄 방지 요령···크레딧 리포트 등 정기 점검, 소셜·생일 정보 노출 안되게 (0) | 2014.02.19 |
미국 흑인들, 아프리카로 돌아가다 (0) | 2014.02.19 |
그 많던 인디언은 다 어디로 갔을까? (0) | 2014.02.19 |
미국 최고의 직업은 간호사…이어 소프트웨어 기술사와 약사 순 (0) | 2014.02.19 |